전공서적/코드로 배우는 Spring 웹 프로젝트
모델2패턴의 이해
kmjkmj2005
2017. 10. 24. 10:33
모델2패턴의 이해
스프링 MVC는 모델2방식 구조르 이요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모델2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
최근의 모든 웹 개발은 거의 모델2방식을 사용한다.
모델2방식은 흔히 MVC구조를 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가장중요한것
-> 화면과 데이터 처리를 분해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
모델2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된다
모델(Model) |
데이터 혹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|
뷰(View) |
결과 하면을 만들어 내는 데 사용하는 자원이다 |
컨트롤러(Controller) |
웹의 요청(request)을 처리하는 존재로 뷰와 모델사이의 중간 통신 역할을 한다 |
컨트롤러는 모델계층과 연동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, 결과를 뷰로 전송하게 된다.
모델2에서 모든 요청은 기본적으로 컨트롤러를 호출한다.
각 컨트롤러는 자신을 호출하는 특정한 URL경로를 가지고 있다.
모델2방식의 장점 |
개발자와 웹 퍼블리셔의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|
컨트롤러의 URL을 통해서 뷰를 제어하기 때문에, 뷰의 교체나 변경과 같은 유지보스에 유용 |
<참고문헌 : 코드로 배우는 Spring 웹 프로젝트>